[225번째 KAIA 뉴스레터] 2025.8.8 | KAIA 뉴스레터 231호 |
|
|
✨“사회서비스 분야, 투자 생태계를 만나다!”2025 중앙사회서비스원 액셀러레이터 비기너 교육 성료 |
|
|
지난 7월 28일(월)~30일(수), 대전에서 2025 중앙사회서비스원 액셀러레이터 비기너 교육 과정이 진행되었습니다. 본 교육은 창업생태계 전반적인 이해와 정보 공유, 전문역량 학습 등을 통하여 사회서비스 분야 투자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중앙사회서비스원 및 전국의 시도사회서비스원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페이스메이커스 김경락 대표, 블루웨일인베스트 양희정 대표, 공명파트너즈 변장원 파트너, 한국사회투자 이순열 대표, INTEREST 김세호 대표, 임팩트스퀘어 도현명 대표, 브릿지파트너스 강래경 회계사, 모비딕벤처스 홍순엽 팀장, 스타벤처스 문지은 대표 등이 강연자로 참여하여 액셀러레이터 초기 입문하는 교육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액셀러레이터 생태계의 이해부터 임팩트 투자 맞춤 사례까지 단계별 강의를 진행해 주셨습니다.
사회서비스 투자 활성화 사업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투자생태계, 스타트업 발굴, 배치프로그램과 보육, 임팩트 펀드조성, 임팩트 투자/보육 사례, 비즈니스모델, 가치평가, 투자 프로세스와 투심보고서 작성, 임팩트 사업 투자전략 등 사회서비스 분야 투자 생태계에 처음 입문하는 담당 실무자에게 필요한 기초 지식 등으로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교육생은‘역대 임직원 교육 중 최고로 유익했음’,‘이번 교육을 통해 사회적 가치 실현과 함께 서비스 제공 기업의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일깨워줬음’,‘단순한 복지 지원을 넘어, 사회서비스를 하나의 생태계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이루어짐’,‘사회서비스 분야에서 필요한 투자 생태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등의 만족스러운 교육 후기를 남겼습니다.
|
|
|
🎊베트남 진출, 현지에서 답을 찾다! KAIA×더인벤션랩 세미나 |
|
|
우리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는 베트남 호치민을 거점으로 대한민국 액셀러레이터와 스타트업이 글로벌에 진출 할 수 있는 연결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창업생태계와 사업 문화의 이해를 높이고, 현지 진출 투자자 및 스타트업과의 교류를 통해 성공적인 글로벌 도전이 될 수 있는 정기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본 세미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터를 표방하며 베트남에서 활약 중인 더인벤션랩과 함께 개최하는 정기 세미나로 현지 산업 트렌드를 소개하고, 현지 액셀러레이터 또는 기 진출 스타트업의 사례 소개를 통해 베트남 진출의 가능성을 높이고자 기획되었습니다.
베트남 호치민 IT 지원센터에서 개최되는 본 행사는, 장소 관계 상 선착순 20명을 신청받고 있습니다.
베트남에 도전하는 투자자 및 스타트업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일자: Friday, October 22, 2025 | 2:00 PM – 5:00 PM
- 장소: Korea IT Cooperation Center(KICC) in HCMC, Conference Room
- 참여대상: 20이내 (베트남 현지에서 도전하는 스타트업 및 투자자)
- 공동주최: KAIA × The Invention Lab
[Time Table] (14:00~14:10) 세미나 안내, 주최기관 소개 (14:10~15:00) 2025년 상반기 베트남 산업 트렌드 리뷰 / 더인벤션랩 (15:00~15:20) 베트남 현지 진출 액셀러레이터(or 스타트업) 케이스 소개 (15:20~16:00) 베트남 현지 진출 관련 Q&A
|
|
|
국내 벤처투자 시장이 AI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며 7월 투자액이 약 8000억 원으로 상반기 월평균의 두 배에 달했다. 퓨리오사AI와 리벨리온이 나란히 유니콘이 됐고, 게임·농업 등 다양한 업종에도 AI·블록체인 결합 투자가 확대됐다. 정부는 ‘K-AI’ 프로젝트에 5378억 원을 투입, 네이버클라우드·업스테이지·SKT·NC AI·LG경영개발원 등 5개 팀을 선정해 GPU 인프라, 데이터, 인재 유치 등을 지원하며 2027년 최종 2개 팀을 선발한다. K-AI의 국방·공공 분야 채택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
|
|
가트너가 ‘2025 AI 하이프 사이클’에서 올해 주목할 AI 혁신 기술로 ‘AI 에이전트’와 ‘AI 레디 데이터’를 선정했다. AI 에이전트는 LLM 등 AI 기술을 활용해 자율적으로 의사결정·행동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며, AI 레디 데이터는 AI 활용에 최적화된 데이터 세트로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보고서는 멀티모달 AI와 AI TRiSM(신뢰·위험·보안 관리)도 향후 5년 내 주류가 될 것으로 전망하며, 기업이 AI 확산에 맞춰 데이터 관리와 거버넌스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
7월 국내 스타트업 신규 투자액이 8601억 원으로 전월 대비 84% 늘며 벤처투자 시장이 회복세를 보였다. 제조·하드웨어 분야가 3337억 원으로 1위를 기록했고, 이 중 이녹스리튬이 1719억 원을 유치했다. AI·딥테크·블록체인, 헬스케어·바이오 분야도 활발했다. 정부의 모태펀드 출자 확대와 민간·정책금융 참여가 투자 확대를 이끌었으며, 업계는 IPO 시장 정상화 시 추가 성장 가능성을 전망했다.
|
|
|
중기부가 2025년 글로벌펀드 운용사로 미국·프랑스·일본 등 6개국 13개사를 선정, 역대 최대 규모인 2.4조 원 펀드를 조성한다. 모태펀드 1700억 원을 출자해 AI·기후테크·세컨더리 등 분야를 확대하고, 한국기업 의무 투자금액도 2700억 원 이상으로 늘린다. 글로벌 VC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투자유치와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
|
|
더벤처스
투자 심사 업무에 AI 도입으로 검토 시간 44% 줄여 더벤처스는 AI 심사역 ‘비키 1.0’ 도입으로 투자 검토 시간을 44% 줄이고 판단 일치율 78%를 달성했다. 향후 전사적으로 AI를 도입해 보고서 자동 생성, 투자사 지원 알람,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 선제 발굴 등 기능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
|
|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8월부터 예비·초기 창업자를 위한 ‘강원 브릿지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판로·마케팅, AI·데이터, 브랜딩·디자인 등 분야별 맞춤형 교육을 확대해 실무 역량 강화를 지원하며, 강원도민 누구나 무료 수강 가능하다.
|
|
|
마크앤컴퍼니
스타트업 분석 플랫폼 ‘혁신의숲 2.0’이 기업당 110여 개 데이터와 AI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업데이트 주기 단축, 장기 재무데이터, 맞춤 대시보드·검색·비교 기능을 강화해 스타트업 흐름을 더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했다. |
|
|
컴퍼니에이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2025 슈퍼:콘 액셀러레이팅’으로 대전 콘텐츠 스타트업 5개사를 3개월간 지원한다. 투자 컨설팅·멘토링·네트워크 연계 후 데모데이로 시장 진출을 돕는다. |
|
|
제주테크노파크
과기정통부가 ‘2025년 지역기술혁신허브 육성지원 사업’ 대상으로 제주(그린수소)를 선정했다. 제주TP 주관으로 5년간 311억 원을 투입해 RE100 기반 그린수소 생산·제도·사업화 통합 플랫폼을 구축, 가격 경쟁력 확보와 산업 육성을 추진한다.
|
|
|
|